- 스킵메뉴
- 본문바로가기
-
고인돌

- 2천여개 이상의 고인돌이 모여있는 고창은 세계에서도 고인돌이 가장 밀집한 지역으로 손꼽히고, 그 진귀함을 인정받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청동기 시대(기원전 10세기~기원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은 고창읍 곳곳에 흩어져 있는데, 규모가 큰 것은 동양최대인 300톤에 달한다.
고인돌 집단 군락지인 죽림리와 상갑리 일대는 매산마을을 기점으로 동서에 걸쳐 산줄기의 남쪽 기슭을 따라 고인돌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종목 : 사적 391호, 명칭 : 고창지석묘군, 분류 : 지석묘, 면적 : 572,200㎡, 지정일 : 1994. 12. 21, 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산63외, 시대 : 청동시대

- 고인돌 분포
- 고창고인돌 지석묘군이 분포된 입지를 살펴보면 고창읍에서 서방으로 약 3km 떨어진 곳에 북방식 지석묘가 있는 도산마을이 있다. 다시 이 마을을 안고 북행하면 약 1.2km떨어진 곳에 죽림리 매산마을이 있다. 매산마을은 화실봉(표고 400m)의 봉우리로부터 서남을 향하여 활 모양으로 뻗어내리는 산지맥을 배경으로 하고 앞에는 주진강 상류인 고창천이 가로 흐르고 있다. 매산마을 뒷산은 말안장 모양의 지형으로 그 서방은 섬틀봉(표고 150.3m)이라는 삼국시대의 산성이 있는 봉우리가 있다. 이 지석묘군은 매산마을 기점으로 동서에 걸쳐 산줄기의 남쪽 기슭을 따라 대체적으로 표고 15m내지 50m의 범위내에서 몇 무더기의 군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 고인돌 양식
- 이 곳 지석묘군을 관찰해보면 그 숫자의 방대함과 아울러 실로 다양한 형식 곧 이른바 탁자형의 북방식으로부터 가장 말기퇴행적인 다지석식에 이르기까지 집중 분포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석의 크기도 소형 석곽의 개석으로부터 차츰 거석화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성격을 간직하고 있어 동북아시아의 지석묘 변천사를 규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며 희소가치가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지이다.
한편 이 곳 지석묘의 총수가 5만여평에 1,000기 이상될 것 이라고 추정하고 있으나 1990년도에 마한백제 문화연구소가 이곳을 지표조사한 결과 북방식 3기, 지상석곽식 44기, 남방식 251기, 기타불명이 149기, 계 447기가 확인되었다. 지석묘의 크기는 길이 1.0m 미만에서 최대 5.8m에 이르는 것까지 공존하고 있으며 총447기중 3.0m 미만이 80% 3.0m 이상이 20% 4.0m 이상은 21기, 그중 6기는 5.0m 이상이다. 이 곳 지석묘군은 약 2500여년전부터 500여년간 이 지역을 지배했던 족장의 가족 묘역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청동기시대 농사를 기본으로 한 족장 내지 부족체제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전에 살았던 빗살무늬토기인이 강가에서 생활했던 것과는 달리 낮은 야산과 비옥한 터전인 이곳 고창의 죽림, 아산 상갑을 찾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방식·남방식·무지석(無支石)등 국내에서 조사되는 고인돌의 각종 형식을 포괄하고, 상석의 크기 또한 소형 석곽인 개석부터 거석까지 있어, 동북아시아의 고인돌 변천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2000년 ICOMOS(Internatioa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국제기념물유적회의)를 통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지석묘
- 지석묘란 알다시피 청동기시대의 산물이다. 사람들은 정착하여 혈연집단을 이루었고 벼농사를 짓게 되었다. 더 많은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불가피했고 그 과정에서 집단의 안위를 책임지는 우두머리가 필요했다. 다른 집단과의 전쟁을 통해 더 넓은 영역과 노동력을 확보하기 시작했다. 지석묘 축조는 단순한 무덤으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바로 공동체 사회의 힘을 결집하고 협동단결을 이루기 위한 가족적인 행사였다. 또 간간이 나오는 유골과 청동검, 청동도끼, 다량의 옥(玉)제품 등 부장품들은 당시의 생활상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가 된다. 지석묘(支石墓)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불리는 이름이며, 중국에서는 석붕(石棚), 서구 지역에서는 돌멘(Dolmen)이나 거석巨石, (Megalith)으로 부른다. 흔히들 고인돌이라고 많이 불리워진다.

교통편
- 1) 고창 → 아산소재지 → 하갑교 → 고창 죽림 6.7km 시내버스 40분간격 운행
- 2) 고창 → 도산 지동 → 고창 죽림 4.0km승용차 통행가능(버스통행 불가)
- 3) 고창 → 학전,석탄 죽림 4.6km시내버스 1일 5회 운행
- 4) 고창 → 석교 → 덕정삼거리 → 죽림리 (매산마을)4.0km
문의전화
- - 고창군 문화관광과 (063)560-2227
- - 고인돌공원관리사업소 (063)560-2578
목 록
Top